이번 글에서는 마인크래프트 서버 열기/만들기에 대한 주제로 작성했습니다. 현재 가장 최신 버전인 마크 서버 여는 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옛날엔 하마치나 버킷 등을 활용해 서버를 구축했지만 현재 다양한 시스템이 마련되어서 굳이 사용하지 않는 방법들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서버 열기 전 밑준비
- 본인이 쓰는 마인크래프트 버전에 맞는 자바 버전 다운로드
- 충분한 사양의 컴퓨터
자바 버전은 아래를 참고해서 설치해두세요.
마크 버전 | 자바 버전 |
---|---|
1.19 이상 | JAVA 18 |
1.18 이상 | JAVA 17 |
1.17 이상 | JAVA 16 |
3~4명 정도의 친구들과 간단히 즐길 생각이라면 그리 고사양의 컴퓨터는 필요 없을 것 같네요.
제가 소개해드릴 방법은 총 두 가지입니다. 각자 상황에 맞춰 서버 여는 방법를 선택해보세요.
- Minehut: 서버 참가원이 4명 이하일 때 제일 좋은 방법, 매우 쉽고 무료로도 가능함
- 마인크래프트 공식 서버 버킷: 조금 난이도가 있지만 서버 참가원이 5명 이상이면 써야 함
본인이 사용하고자 하는 방법을 위의 목차에서 찾아서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Mine hut으로 마크 서버 여는 법
1. Mine hut 회원가입 및 로그인
우선 위의 링크 버튼으로 Mine hut 공식 홈페이지로 이동한 다음
우측 상단의 ‘sign up’을 클릭해서 회원가입을 완료해주세요. 구글 계정이 있다면 간편 가입이 가능합니다.
회원가입이 끝났다면 로그인 후 아래의 과정을 차근차근 이어가 주세요. 별로 어렵지 않습니다.
2. 마인크래프트 서버 생성
- 로그인 후, 상단 메뉴에서 ‘Dashboard’를 클릭하면 대시보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Create New Server’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운 서버를 생성합니다. 서버 이름은 영어로만 생성이 가능하고,
이 영어로 이루어진 서버 이름이 나중에 서버 주소로 사용됩니다. - 생성된 서버는 대시보드에 표시되는데 해당 서버의 ‘Activate Server’ 버튼을 클릭하여 서버를 활성화합니다.
3. 서버 설정
- 서버 관리 페이지
- 활성화된 서버의 ‘Manage Server’ 버튼을 클릭하면 서버 관리 페이지로 이동
- 설정 변경:
- ‘Settings’ 탭에서 서버의 게임 모드, 난이도, 화이트리스트 등 다양한 설정을 변경이 가능
- 플러그인 추가:
- ‘Plugins’ 탭에서 다양한 플러그인을 검색하고 설치하여 서버 기능을 확장할 수 있음.
MIne hut의 최대 장점 중 하나입니다. 원래 본인이 직접 서버를 열면 설정하는 것부터 손이 상당히 많이 가는데
Mine hut은 버튼 한 두번의 클릭만으로도 쾌적한 관리를 할 수 있어요.
4. 서버 접속
마인크래프트에 접속 한 후 멀티 플레이 메뉴에서 서버 추가를 클릭하고 서버 주소를 입력하면 됩니다.
서버 주소는 [본인이 지은 서버 이름.minehut.gg]이니 같이 할 사람들에게 틀리지 않게 서버 주소를 잘 알려주세요.
정확한 서버 주소는 서버 관리 페이지 상단에 표시되어 있으니 헷갈리신 분들은 확인해보세요.
참고사항으로는
- Minehut의 무료 서버는 접속자가 없는 상태가 일정 시간이 지속 되면 서버가 자동으로 종료됨
- 인게임 서버 내에서 ‘/op 유저 닉네임’ 입력하면 관리자 권한을 부여 할 수 있음.
정도가 있습니다. 아래부터는 마인크래프트 공식 서버 버킷을 사용해서 만드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공식 버킷으로 마크 서버 만들기
1. 공식 서버 파일 설치하기
위의 ‘마인크래프트 공식 서버 버킷 설치 페이지’를 클릭하면 서버 파일을 배포하는 마인크래프트 공식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먼저 해당 페이지에서 최신 버전의 서버 파일을 다운로드 하세요.
2. 서버 폴더 설정
다음으로는 설치한 서버 파일을 따로 보관한 전용 폴더를 만들어야 합니다.
예를들면 ‘ORIXserver’이라는 이름의 폴더를 만들고 그 폴더안에 sever.jar 파일을 옮겨 주세요.
3. 서버 실행 및 초기 설정
- 서버 실행
- 폴더에 옮겨둔 server.jar 파일을 더블 클릭해서 실행합니다.
- EULA 동의 설정
- 서버 파일을 처음으로 설정하면 이후 폴더에 eula.txt 파일이 생성이 되는데 이 파일을 열어서
[eula=false] 항목을 [eula=true]로 수정하고 저장해주세요.
- 서버 파일을 처음으로 설정하면 이후 폴더에 eula.txt 파일이 생성이 되는데 이 파일을 열어서
4. 서버 내부 설정하는 법
[server.properties]
위 제목의 파일을 메모장으로 열면 서버의 각종 설정들을 변경 할 수 있습니다.
게임 난이도(평화로움, 어려움 등), 최대 플레이어 수, 블랙 리스트 등을 변경 할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5. 포트 포워딩 설정
이전까지는 이제 서버라는 집을 만들고 가꾸는 과정이었습니다.
이제 다른 사람들과 같이 마인크래프트를 하기 위해선 내가 만든 집(=서버)에 올 수 있는 주소와 초대장을 보내줘야 하는데요.
이 포트 포워딩이 초대장을 만들어주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부터는 본인이 어떤 회사의 인터넷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설명 방법이 달라져야 돼서 글로 설명하기엔 내용이 너무 길어집니다.
때문에 위의 1분 가이드 영상을 따라주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만약 본인의 IP를 확인 하는 방법이 어려우신 분들은 우선 구글에 [what is my ip]라고 검색하시면 본인 컴퓨터의 ip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스크롤을 조금 내려보면 본인이 사용하고 있는 IP를 띄워줍니다.
영상 내용에 따라 포트 포워딩을 끝내셨다면 거의 다 왔습니다.
6. 서버 실행 및 초대
- 서버 실행 방법
- server.jar 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서버가 실행됩니다.
- 서버 접속
- 마인크래프트 멀티플레이 메뉴에서 직접 연결을 선택한 후, 서버의 IP 주소를 입력하면 접속이 됩니다.
여기서 서버 IP는 본인 컴퓨터의 IP입니다.
- 마인크래프트 멀티플레이 메뉴에서 직접 연결을 선택한 후, 서버의 IP 주소를 입력하면 접속이 됩니다.
- 다른 사람 초대하기
- 같이 하고픈 사람에게 서버 주소를 알려주면 됩니다.
만약 IP를 알려주기 껄끄럽다면 도메인을 사서 적용해야 하는데 돈이 조금 듭니다.
- 같이 하고픈 사람에게 서버 주소를 알려주면 됩니다.
만약 서버 접속에 문제가 있다면 포트 포워딩과 서버 주소 입력 과정에 문제가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마크 서버 여는 법이 꼭 한 가지인가요?
아니요. 하마치를 이용하거나, Minehut을 이용하는 등 방법은 여러가지입니다. 하지만 하마치는 컴퓨터의 네트워크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기도 해서 안전하거나 쉬운 방법들을 조사해 정리해온 겁니다.
5명인데 서버 열기를 Minehut으로 해도 될까요?
들리는 말로는 서버 정원이 4명이 넘어가면 Minehut의 무료 서버가 감당을 못해서 조금씩 렉이 걸린다고 합니다. 조금 어렵더라고 유튜브 등의 자료를 참고해서 공식 버킷으로 마크 서버을 열어보시길 바랍니다.